총괄 테크캡슐
연출 정동구
기획 황지은, 정동구, 이택수
영상 편집 및 제작 이택수, 선원들(김정연, 정원준)
3D 데이터 이택수, 황동욱, 현박, 방나영, 최희곤
공간정보 이노팸(함상우)
협력 이성민,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시 공간정보기획단
<모든 것일 수도 아무 것도 아닐 수도: 짓는 집, 부수는 집>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진행했던 《기후미술관 : 우리집의 생애》에 전시된 영상 작품이자 공간 시노그래피입니다. 영상에 등장하는 집은 마치 문만 열면 바로 들어갈 수 있을 것 같이 생생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시간의 틈에서 유령처럼 떠다닙니다. 집은 지어지고 쓰이고 부서집니다. 이 영상은 시간이 흐를 수록 재배열 되고 가공되는 집에 대한 기억을 가상공간 속에 3D 데이터를 통해 만들어진 집으로 표현하고자 하였습니다.
---
"한 때 거기에 집이 있었다.
기록의 매체들을 통해 장소의 재경험을 이끄는 시도들은 언제나 감흥을 불러 일으킨다. 특히 그 장소가 없어졌을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여기 우리 도시에서 40여년간 살아왔던 - 지금은 사라진 - 집이 있다. 기억 속에 있는 그 집이 분명한데 좀 더 들여다보면 이상하다. 무수히 많은 점들의 집합이다. 3D 스캐너로 획득한 공간 좌표 정보들인 것이다. 찰나의 시간에 수많은 레이저 빔을 대상에 투사하고 그것이 보내는 신호들은 우리의 망막에 빛으로 맺혀 그 때 그 집으로 환생한다. 어찌 보자면 그 정보의 흔적은 실제 그 집의 포착된 현실이 아닐 수도 있다. 이 정보들은 세상 어디에도 물질적 흔적을 남기지 않고, 그저 흐릿하게 우리의 시각 체계 안에 존재한다. 과연 우리가 보는, 우리가 기억하는, 집은 실체인가? 허상인가?
누군가의 기억과 추억 속의 아련한 이야기 안에 있는 집의 존재를 아주 가깝게 그리고 아주 멀게 교차하며 조망해본다. 거대 도시의 급격한 변화와 분주한 시간들은, 반듯한 아파트 블록과 아름드리 나무들은, 집을 이루는 무수한 재료와 사물들과 함께 우리 기억 안에서 부유한다. 콘크리트와, 플라스틱과, 유리와, 알루미늄과, 그리고 그 안을 비집고 생동했던 나무와, 풀과, 새와, 바람과, 우리는 어떤 상호작용을 하면서 살아왔을까? 우리가 무심했던 물질의 낯설음을 경험하고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물질적 실체들을 온전히 마주하길 기대한다.
그것은, 모든 것일 수도 아무것도 아닐 수도."
<Everything or Nothing: Building Houses, Demolishing Houses> is a video artwork and spatial scenography featured in the Climate Museum: The Life of Our Home exhibition at the Seoul Museum of Art. The house depicted in the video appears vivid enough to step into with just an open door, yet it floats like a ghost in the gaps of nonexistent time. Houses are built, inhabited, and destroyed. This video seeks to represent the ever-rearranging and evolving memory of homes through 3D data-rendered houses within a virtual space, reflecting the passage of time.
---
"There Once Was a House There.
Attempts to re-experience a place through mediums of documentation always evoke a certain resonance—especially when that place no longer exists.
Here is a house that stood in our city for over 40 years—now gone. The house lives vividly in memory, yet upon closer inspection, something feels off. It is a collection of countless points, coordinates of space captured by a 3D scanner. In an instant, countless laser beams were cast onto the object, and the returning signals coalesced into light upon our retina, resurrecting the house as it once was. Yet, in some ways, this trace of information may not be the captured reality of the house itself. These data points leave no material trace anywhere in the world; they exist faintly only within our visual system. So, is the house we see and remember real? Or is it an illusion?
This work alternates between perspectives that are simultaneously near and distant, exploring the existence of a house nestled in the bittersweet stories of someone’s memories and recollections. The rapid transformation of a sprawling city, its orderly apartment blocks, and towering trees float alongside the countless materials and objects that once composed the house in our memory. Concrete, plastic, glass, aluminum, and the trees, grass, birds, and winds that thrived between them—what interactions have we shared with these elements throughout our lives? This piece invites us to confront the unfamiliarity of materials we often overlooked and fully engage with the tangible entities occupying space.
It could be Everything or Nothing."